악관절 장애는 생소할 수도 있으나 현대인에게 빈번하게 발생화는 질환으로, 턱 관절 및 주변 근육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며, 통증과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저도 중학생시절에 악관절로 고생했던 기억이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악관절 장애의 주요 원인, 증상, 그리고 효과적인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악관절 장애의 주요 원인
악관절 장애(TMJ 장애)의 원인은 다양하며,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원인입니다.
1) 과도한 턱 사용
악관절 장애는 주로 턱을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음식을 씹거나 턱을 무리하게 사용하는 습관이 있는 경우, 턱관절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면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이갈이와 이악물기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이를 갈거나 이를 강하게 악무는 습관은 턱관절에 과부하를 주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 이러한 습관이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외상 및 부상
교통사고, 스포츠 활동 중 충격을 받는 등 외부에서 강한 충격을 받으면 악관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외상은 턱관절의 연골이나 주변 근육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턱관절 디스크 문제
악관절 내부에는 디스크가 있어 턱 움직임을 부드럽게 도와줍니다. 그러나 디스크가 제자리에서 벗어나거나 마모되면 관절 운동이 제한되며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스트레스와 근육 긴장
스트레스는 근육 긴장을 유발하고, 턱 주변의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되면 악관절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긴장된 근육은 턱관절의 정상적인 움직임을 방해하고 통증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6) 부정교합
위아래 치아가 올바르게 맞물리지 않는 부정교합도 악관절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부정교합이 있는 경우 턱 관절에 불균형한 압력이 가해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악관절 장애의 주요 증상
악관절 장애가 발생하면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의 정도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지만, 대표적인 증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턱관절 통증
턱을 움직일 때 불편함이나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통증은 관자놀이, 귀 주변, 턱 아래쪽까지 퍼질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두통을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2) 턱에서 나는 소리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딱’ 혹은 ‘쩍’ 하는 소리가 들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소리는 턱관절 내부의 디스크가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관절면이 부드럽게 움직이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3) 입 벌리기 어려움
악관절 장애가 심한 경우 입을 벌리는 것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 턱이 뻣뻣하거나 심한 경우 입이 거의 벌어지지 않는 증상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4) 턱의 비대칭 움직임
입을 벌릴 때 턱이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부드럽게 움직이지 않고 튕기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이는 턱관절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5) 두통과 얼굴 근육 통증
턱 주변 근육이 지속적으로 긴장되면 두통과 안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관자놀이와 광대뼈 부위에서 압박감이나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6) 귀 통증과 이명
악관절 장애가 있으면 귀 주변의 통증이나 귀가 먹먹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환자들은 이명(귀에서 삐 소리가 나는 현상)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3. 악관절 장애의 치료법
악관절 장애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경미한 경우에는 생활 습관 개선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 생활 습관 개선
- 무리하게 단단한 음식을 씹지 않기
- 껌이나 오징어 같은 질긴 음식 피하기
- 스트레스 관리하기 (명상, 요가, 심호흡 등)
- 수면 중 이갈이를 방지하기 위한 마우스피스 착용
- 바른 자세 유지하기 (특히 장시간 앉아 있을 때)
2) 온찜질 및 냉찜질
급성 통증이 있는 경우 냉찜질을 통해 염증을 줄일 수 있으며, 만성적인 통증이나 근육 긴장이 있는 경우 온찜질이 효과적입니다.
3) 물리치료 및 마사지
턱 주변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해 마사지나 스트레칭 운동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를 병행하면 턱관절의 가동 범위를 늘리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4) 약물 치료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나 근육 이완제 등이 처방될 수 있습니다.
5) 보톡스 주사
턱 근육이 과도하게 발달한 경우 보톡스를 주사하여 근육을 일시적으로 이완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6) 교정 치료
부정교합이 원인이라면 치과 치료를 통해 교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치아 교정이나 보철 치료를 통해 턱관절의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
7) 턱관절 장치(스플린트)
스플린트는 치아 위에 착용하는 장치로, 턱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고 이갈이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8) 수술적 치료
위의 방법들로 효과가 없는 경우, 턱관절 내시경 수술이나 관절 성형술과 같은 외과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술은 최후의 방법으로 고려됩니다.
악관절 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증상의 정도도 개인마다 다릅니다. 생활 습관 개선, 물리치료, 약물 치료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교정 치료나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턱관절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증상이 나타날 경우 조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